간만에 Guru의 Jazzmatazz를 꺼내 듣고 있습니다. 솔직히 처음 이 앨범을 사서 들었던 대학교 1학년 때에는 좀 심심하다는 느낌도 받았었습니다만, 간만에 한 번 씩 꺼내들을 때면 그 깊이가 새롭게 다가오곤 합니다. 그래도 그 때는 한 달 수입의 30%를 CD사는데 투자할 정도로 열정적으로 음악을 포식했었는데 지금 그 감성들은 다 어디로 증발했는지 영 섭섭하기만 합니다. 
R.I.P Guru (금연합시다?)

언제쯤 처음으로 '죽음'에 대해 고민해 보셨는지요? 꽤 조숙한 아이였던 저는 아홉살에서 열 두살 사이 쯤의 어느 날 방에 쳐박혀 이 책 저 책 뒤적이다가 '영원한 침묵'이 무엇인지 문득 깨닫게 되었던 것 같습니다. 한글이 가로가 아닌 세로로 적혀있던, 세계전집 중 어느 한 권을 보다가 그리 된 것 같습니다. 그냥 세상에 존재하지 않게 되는 것, 죽는다는 것에 대해 생각하는 것 조차 허용되지 않는 상태가 있으며, 누구도 피할 수 없다는 사실을 깨닫았을 때의 기분은 무언가 묵직한 것이 내 가슴위에 얹혀진 것 같은 답답한 느낌이었습니다. 그리고 그 기분은 그 이후로도 '무존재의 존재'에 대해 생각할 때마다 따라다니더군요.

영국의 작가이자 비평가 찰스 램은, '사람은 30세가 되기 전에는 자신이 죽는다는 사실을 결코 현실로 느끼지 못한다.'고 했다는데, 그렇지 않은 제 경우를 바탕으로 예상해 보건데, 그는 굉장히 낙천적인 성격이 아니었나 싶습니다. 하지만 저도 이제 30세가 되었지만 종종 천년만년 살 것 처럼 생각하고 행동하곤 하니, 어리석기는 그보다 몇 수 위입니다.

지인의 소개로 '우리는 언젠가 죽는다 - 데이비드 실즈 지음'을 읽었습니다. 유머와 과학적 지식을 적절히 버무려놓은 이 유쾌한 책을 마냥 낄낄대며 볼 수 없었던 이유는, 아무래도 제가 30세가 되었기 때문인 듯 합니다. 유전자의 영속을 위해 빌려타는 버스일 뿐인 이 몸은, 그럼에도 불구하고 너무나 뻔한 선택들 위주의 삶을 살아왔습니다. 어쩌면 그러한 선택들도 유전자의 명령이겠지요. 높은 확율로 안정적인 수입을 획득하면, 안정적으로 가정을 꾸릴 수 있고, 안정적으로 2세를 낳을 수 있고, 안정적으로 유전자를 넘겨줄 수 있을 것입니다.

하지만 나의 유전자는 다른 선택을 해야했습니다. 정말로 이 유전자를 지배적 유전자로 널리 퍼뜨리고자 했다면, 도박을 했어야 하는거 아닐까요? 근근이 세대를 유지해 가는 전략 대신에 말이죠. 이대로는 꾸준히 수십억분의 1의 영향력 뿐입니다. 

어쨋거나 저는 세대를 이어가라는 유전자의 명령에는 크게 관심이 없습니다만, 통계적으로는 가정을 이룬 사람이 독신인 경우보다 평균 4년정도 더 산다고 하네요. 앞으로 한 60년 정도 더 산다고 치고, 4년이면 하루에 한시간 24분씩 덜 사는 셈입니다. 그럼 독신남이 되려면 유부남보다 한 시간은 더 일찍 일어나고 30분은 늦게 잠들어야 하는 걸까요?


Posted by 꾸비스또 :